Skip to main content

10000시간만큼 중요한 방향에 대하여 (Ref. EO - 개발자 특집)

Duduling
Front-end Web Developer

Cover

이번에 이직을 준비하면서 이력서를 취업 이후 다시 작성해봤다. 전부터 이력서는 미리미리 검토하며 정리해야 한다고 알고는 있었지만, 미처 하지 못한 자신이 반성 되는 시기였다. 그렇게 이력서 관련 영상들을 보던 도중에 EO에서 개발자 특집이라는 영상을 보게 되었다. 도움이 될 것 같아 나만의 방식으로 정리해보았다.

:::info오해금지 저만의 방식으로 해석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원본은 영상을 참조해주세요! 🙇🏻‍♂️ :::

이력서 작성하기

시간은 금이다.

작은 스타트업이라면 한명 한명의 지원자에게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가고 싶은 회사는 다른 사람들도 가고 싶은 회사일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그곳에 이력서를 낸다는 것은 마치 나에게 O(1)의 행동이 면접관들에게는 O(n^2)와 같은 기하급수적인 수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최대한 심플하게 작성하는 것이다.

주기적인 이력서 업데이트

이력서를 평소에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거대한 스노우볼에 깔리지 않는다. 망각의 동물인 사람은 내가 아무리 열심히 한 일도 시간이 지나면 까먹기에 주기적으로 이력서를 업데이트하고 관리하자

이력서에 쓸 나의 이야기는 내 주위 동료들에게 물어보면 수월할듯싶다. (feat. 워니님)

힘이 있는 이력서 (feat. 기술 블로그 & 1일 1커밋 & TIL)

그저 어떤 개발자라는 포부는 누구든지 할 수 있는 이야기이다. 그 이야기를 진실이 되게 하고 싶다면 설득의 힘을 더하자. 그 방법은 데이터가 이야기해준다. 평소에 성과를 낸다면 그것을 이력서에 잘 녹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고 그 성과를 좀 더 가시적인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회사 생활

커뮤니티를 활용하자

회사 업무를 진행하면서 나에게 사수가 없을 확률이 높다.

나는 사수가 없으니깐 좋지 않은 방법으로 할 수밖에 없어

라고 하기보다 보다 넓은 세상을 이용하자. 오픈 채팅방이나 문제를 해결한 개발자에게 댓글 & 메일 보내기 등 커뮤니티나 관계망을 이용해 가상의 사수를 만들어내는 것 또한 방법이다.

비즈니스를 생각하자

결국은 비즈니스가 중요하다. 개발자가 물론 좋은 코드 예술적인 아키텍처에 매료되는 것은 본능일 수 있다. 하지만 이성적으로 그 본능을 컨트롤하며 밸런스 있게 조율해야 한다. 지금 내가 하는 일이 서비스에 어느 도움이 되는지 그게 비즈니스에는 어떤 좋은 효과를 가져오는지 생각하면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내 결과물이 비즈니스 결과물로 어떻게 반영이 되는지 (feat. 워니님)

지식의 저주를 조심하자

지식의 저주라는 유명한 말이 있다. 평소에도 나의 문장을 컨트롤할 수 있어야 한다. 개발자들과 이야기할 때는 물론 조금 덜 신경 써도 되지만 평상시에도 대부분 개발을 잘 아는 사람보다는 모르는 사람과 협업을 하는 상황이 많이 생긴다. 내가 아는 그것이 당연하다 생각하지 말고 항상 듣는 사람의 입장에서 단어를 선택해서 뱉는 연습을 한다면 비개발자들이 찾는 개발자가 될 것이다.

성장 전략

주는 개발자

개발자라는 특성상 정말 좋은 지식을 무료로 나눠주는 습성(?)이 있는 것 같다. 그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힘을 쓰는 것이 개발자로서 인정받는 일이 될 것이고 또한 글을 쓰더라도 나만 알게 쓰는 글보다 남들이 보는 글을 쓴다면 자신도 더욱 좋은 글을 쓰려고 노력할 것이고 또한 그 안에서 학습한 내용이 정리도 더 잘 될 것이다.

남들이 보는 글을 쓰는 연습을 해라 (feat. 동욱님)

깊은 개발자

스킬이 많다는 것은 양날의 검이다. 우리는 한정적인 자원을 갖고 살아가기 때문에 모든 것을 통달하기는 쉽지 않다. 그건 대부분 사람이 공감하는 내용이기에 스킬이 깊지 않을 확률이 높다. 그렇기에 연차가 깊어질 수도 많이 보다는 깊게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자.

레벨 1 캐릭터 100개 vs 레벨 90 캐릭터 1개 (feat. 동욱님)
수요가 많은 스킬을 배우는 것이 취업에 한정해서는 유리할 수 있다. (feat. 동욱님)

뛰는 개발자

회사를 선택할 때 회사에서 얻고 싶은 게 무엇인지 명확하게 결정하고 다니자. 그저 왔다 갔다 하는 것보다 내가 회사에서 어떤 부분을 어떻게 성장시키고 싶은지 명확할수록 더 열심히 달릴 수 있을 것 같다.

이상향

개발자의 자세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내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떻게 접근하고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커뮤니케이션

다른 사람이 주는 때로는 추상적인 요구를 명확하게 바꾸는 것 또한 커뮤니케이션이다.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해지고 업무의 완료에 더욱 빠르게 갈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 파악 & 인지 & 해결

또한 내가 무엇을 모르고 어디까지 했는지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문제를 파악하고 인지하며 질문하고 해결하는 능력 또한 중요하다.

성장 가능성

대부분의 주니어에게 바라는 것은 이게 가장 큰 것 같다. 투자하는 사람들 모두가 좋아하는 성장주 & 저평가 가치주이다. 지금은 비록 저평가되어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J커브를 그리며 성장이 폭발하는 사람을 원하는 것 같다.


결국은 좋은 팀 향해 나아간다는 것은 좋을 사람을 공격적으로 뽑는 것보다는 나쁜 사람을 뽑지 않아 좋은 팀원을 지키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많은 투자자가 말하는 것처럼 수익보다는 손실을 조심하라는 말과 일맥상통한 듯..? 🤔

그 외

코딩테스트

코테가 전부는 아니지만 작은 허들이다. → 모든 사람을 볼 수 없기에 채 정도로 생각하자

기준 설정

요구 수준이 높아지는 이유는 그만큼 학습이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예전에 학습 환경과 지금의 학습 환경이 다르는 것을 기억하자. 또한 나의 위치를 알고 싶다면 내가 원하는 기업의 비슷한 연차의 사람들을 보면서 기준으로 삼자

발상의 전환

엘리베이터는 아무리 많아도 불만이 생기기 마련이다. 그러면 엘리베이터를 늘리고 빠르게 하는 해결법보다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부분에 새로운 활력을 넣어서 기다리도록 하는 상황을 연출하는 것이 자원이 훨씬 적게 소모될 수 있다.

성장하지 않는 개발자

성장을 하는 회사 그에 맞춰서 성장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토태되고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으로 남지는 않을 것이다.

글을 마치며 👋🏻👀

영상을 보며 생각보다 내가 놓치고 있던 부분들이 많았던거 같다. 그렇다고 사실 모르는 내용은 아닌데 평소에 간과하기 쉬운 내용들이다.

앞으로는 내가 성장할 때 그저 열심히 공부하는 것보다 방향을 갖고 나는 ㅇㅇㅇ개발자 같은 앞에 수식어가 붙어야 하고 그를 위해서 가시적으로 그 내용을 뒷받침하는 이력과 증거들을 만들어 내는 부분에 노력을 해야 할 것 같다.

그저 나 스스로 내가 일하는 동료들만 내가 좋은 개발자라는 것을 아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남들도 나를 봤을 때 좋은 개발자 또는 같이 일하고 싶은 개발자가 되려면 항상 꾸준히 준비해야 하는 것 같다.

Reference 📎

EO - 개발자 특집 영상 보며 메모한 내용